반응형

저같은 요린이가 끓인 미역국이 생각보다 맛있었습니다. 스스로 만족스럽습니다. 와이프도 엄지척했습니다. ^^V 개념위주로 대충 해도 괜찮은 맛이 나는 소고기 미역국 끓이는 방법입니다 ^^ 몇분의 도움으로 요리방법을 숙지했습니다. 백종원 선생님 방법도 배웠고, 마침 저희집 가사도우미 분께도 좀 배웠습니다. 최대한 간단하고, 대충해도 할수 있게끔 해보았습니다. 

 

- 재료준비물

: 미역, 소고기, 국간장, 참기름, 다진마늘, 까나리액젖

(자취하시는 분이라면 없을 수도 있는데, 그게 아니라면 미역과 소고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있으실 껍니다. 없으시면 작은거 사서 두고두고 쓰셔도 좋을 듯합니다~)

 

- 수량

4인분 기준, 미역 4인분(파는 미역보면 양이 나와있습니다. 대충 미역의 양을 나누어 4인분에 맞추시면 됩니다. 

소고기(부위 상관없음, 대충 본인이 원하시는 양), 국간장(대충 밥숟가락 기준 2스푼), 참기름(2스푼), 다진마늘(1/2스푼), 까나리액젖(1스푼), 물 4인분 기준 1000ml (대충 종이컵이 200ml입니다. 비슷한 사이즈의 물컵을 5번 부으면 되겠죠!? ^^;)

 

- 순서

1) 미역을 물에 불린다. (생각보다 미역을 물을 잘 먹어서 부피가 엄청 늘어납니다.)

2) 미역을 건저, 소고기와 함께 후라이팬에 올린다.

3) 준비된 국간장(밥숟가락 기준 대충 2스푼), 참기름(2스푼), 다진마늘(1/2스푼), 까나리액젖(나중에 사용)으로 미역과 소고기에 뿌려 양념한다.

 

: 핵심개념은 국간장, 참기름, 다진마늘을 미역과 소고기에 쫄이고, 쫄이면서 익힌다입니다. 보통 국을 끓이면 건더기에 양념이 스며들지 않아 따로 노는느낌인데, 이렇게 따로 쫄여주면서 건더기와 국물이 조화를 이루게 됩니다.

 

 

 

4) 미역이 물을 먹고 있고, 물이 흥건할 껍니다. 이 물들이 증발되고, 국간장, 참기름, 다진마늘 등이 미역과 소고기에 스며들도록 쫄입니다. 쫄이는 과정에서 잘 익게 됩니다.

 

5) 잘 쫄여진 미역과 소고기 건데기를 물(1000ml, 종이컵이 200ml, 비슷한 사이즈 물컵을 5번 부으시면 됩니다.) 에 넣습니다. 그리고 까나리액젖을 1스푼 넣어주시면 간이 적당한 것 같습니다. 취향에 따라 간조절 하시면 됩니다.

 

6) 이제는 건데기를 맛봐가면서 원하는 수준으로 건더기가 익었는지 확인하시면서 적당히 끓이시면 됩니다.  보통 여기서 간이 좀 싱겁다면 소금이나 까나리액젖을 조금더 넣으셔도 됩니다. 

 

7) 끝~

 

 

반응형

'취미 > 요리 미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당 옥수수 먹는법 찌는법  (0) 2022.07.01
국간장 진간장 차이  (0) 2021.03.09
반응형

MZ세대와 관련성이 있다는 뉴스도 나오네요.

메타버스는 가상, 초원(Meta)와 세계 우주(Universer)
의 합성어 입니다. 가상세계를 탐험하는 버스(bus?)인줄 알았는데, 3차원 가상세계를 뜻하더군요 T.T 사회, 문화, 정치, 경제의 모든 분야에서 현실과 비현실을 공존할 수 있는 생활, 게임의 가상세계라는 의미로 넓은 범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라는 개념은 미국의 SF 소설가인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이 지난 1992년에 발표한 소설인 스노우크래쉬(Snow Crash)’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아바라 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고 합니다. 다들 아시는 영화 제목으로도 유명하죠. 메타버스라는 가상의 나라에 들어가기 위해 사람들이 아바타라는 가상의 신체를 빌려 활동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영화 아바타랑 동일한 개념이 1992년에 도입되었습니다.

소설이 발표됐을 당시만 해도 생소한 개념과 텍스트가 보여줄 수 있는 상상력의 한계로 반향은 그리 크지 않았다고 합니다. 독자들은 SF소설이 그리는 또 하나의 배경일 뿐이라고 생각하며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짐작됩니다. 그렇게 사람들의 뇌리에서 서서히 사라져가던 메타버스와 아바타가 다시 재조명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2003년의 일입니다. 미국에서 혜성같이 등장한 가상현실 서비스인 ‘세컨드라이프(second life)’에 의해 메타버스와 아바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한 이라고 합니다.


세컨드라이프의 메타버스는 소설인 스노우크래쉬에서 등장하는 메타버스와는 근본적으로 많은 차이를 보였습니다. 우선 메타버스가 무엇인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면서, 가상의 공간이 얼마나 매력적인 공간인지를 느끼게끔 만들었습니다.
아바타로 변신한 사람들은 다른 아바타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생활했고, 때로는 경제적인 활동까지 수행하며 돈도 벌었습니다. 특히 물리적 한계가 없는 가상의 공간이어서 사람들은 가고 싶은 곳이라면 어디든지 순간적으로 이동하며 자유를 만끽하기도 합니다. 그야말로 세컨드라이프라는 서비스의 명칭처럼 사람들은 가상의 공간에서 제2의 인생을 살며, 메타버스라는 공간이 얼마나 매력적인지를 직접 체험하는 기회를 누렸습니다.

메타버스는 어떤유형?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현실공간에 2D, 3D로 표현되는 가상의 물체를 겹쳐 보이게 하여 상호작용하는 환경을 의미합니다. 사람들에게서 적은 거부감으로 보다 높은 몰입감을 유도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포케몬Go! 가 있습니다.

가상세계(Virtual Worlds), 가상현실(Virtual Reality)
현실과 유사하거나 혹은 완전히 다른 대안적 세계를 디지털 데이터로 구축한 것입니다. 가상 세계에서 사용자들은 아바타를 통해 현실세계의 경제적, 사회적인 활동과 유사한 활동을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가상세계는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형태의 메타버스로서, 리니지와 같은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부터 린든 랩에서 개발된 세컨드라이프와 같은 생활형 가상세계에 이르기까지 3차원 컴퓨터 그래픽환경에서 구현되는 커뮤니티를 총칭하는 개념입니다.

라이프로깅(Lifelogging)
사물과 사람에 대한 일상적인 경험과 정보를 캡처하고 저장하고 묘사하는 기술입니다.  사용자는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순간을 텍스트, 영상, 사운드 등으로 캡처하고 그 내용을 서버에 저장하여 이를 정리하고,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센서가 부착된 스포츠 웨어를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워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사용함으로써 달린 거리, 소비 칼로리, 선곡 음악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등의 행위가 라이프로깅의 예시가 될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 관련회사

예전에 와닿지 않던 기술, 회사들이 미국의 로블룩스(ROBLOX)라는 가성현실 게임을 만든 회사가 상장준비를 하면서 관심을 집중받았다고 합니다. 이와 연계해서 국내에서도 메타버스 관련주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것 같습니다. 엠게임은 VR, 테마파크 및 로봇 관련사업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 한빛소프트, 선익시스템, 알체라, 덱스터 라는 회사들이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과 관련이 있어 주목 받는다고 하네요. 저도 오늘 알게되었는데, 얼른더 공부해봐야겠습니다. ㅎㅎ 상한가 가즈아(넝담입니다~) ^^;

반응형
반응형

자주보게 되는 용어중 MZ세대가 있습니다. 저도 의미를 잘 모르고 있었는데, 마침 눈에 뛰어 정리하게 되었네요~ MZ세대란.. 밀레니엄(Millennium)의 'M'과 Z세대의 'Z' 이니셜을 따서 MZ세대 라고 합니다. 정말 간략히 정리해보면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최신 트랜드와 남과 다른 이색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고 합니다. (네이버 백과사전 정의 ^^)

 

 

- 밀레니엄 세대 :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세대

- Z세대 :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세다

 

저는 30세대 후반으로 밀레니엄 세대에 해당합니다~ 조금더 정리해보면 실제 저의 성향과 유사한지 비교도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독자분들도 한번 맞는지 참조하시면 좋겠네요~ ㅎㅎ

 

- MZ세대 성향

MZ세대는 SNS를 기반으로 유통시장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소비 주체로 부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MZ세대는 집단보다는 개인의 행복을소유보다는 공유를상품보다는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 특징을 보이며단순히 물건을 구매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사회적 가치나 특별한 메세지를 담은 물건을 구매함으로써 자신의 신념을 표출하는 Meaning Out(미닝 아웃)’ 소비를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또 자신의 성공이나 부를 과시하는 ’FLEX(플렉스)  문화를 즐기며 고가 명품에 주저 없이 지갑을 여는 경향도 있다고 합니다.

 

좀더 상세하게 아래 키워드와 취업 관련한 내용들을 보면 더 와닿는것 같습니다. 사실 저같은 경우는 MZ세대의 일반적인 소비성향과는 완전히 다른 성향이긴합니다. 개성인것 같기도 하지만, 입사하기 싫은 기업이라는 측면에서는 크게 공감이 되는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참고 직장인 충성한다는 개념이 강했다면.. 제 성향과 지금 주변또래 친구들을 살펴도 저런 성향에 공감이 되네요.

 

 

MZ세대들은 자칫 충성도가 낮아 보일수 있는것 같긴하지만, 자기의 성향과 잘 맞다고 동조만 된다면 온몸을 불사르는 열정도 넘치는 것 같습니다. 또한 모바일 기기및 첨단 장비에 어떤 세대들 보다 익숙해 스마트하고 효율적으로 업무를 추진해갈 능력도 갖추었구요. 

 

시간이 갈수록 기업에서도 이 MZ세대를 어떻게 설득하고, 최대한 활용할지 고민을 많이 해야만 할것 같습니다.

최근 SK하이닉스에서 회사 수익에 많이 개선되었음에도 보너스가 적다는 불만들이 누적되어 경영진 사장에게 메일을 썼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이에 사장도 일부 답을 하였구요. 시작일 뿐이지만, 예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이벤트들이 생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작은 변화들도 지속 쌓이다보면 큰변화들이 생길 물꼬를 트는 것아닌가 싶습니다. ㅎㅎ

여튼 제 성향에 맞게끔 세상이 바꿔가는것같아.. 기대반 두려움 반입니다~! MZ세대 화이팅!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