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스터 트롯의 우승자 임영웅씨가 사랑의 콜센터를 하차한다는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사실 루머는 몇달 전부터 돌고 있긴했던 것 같습니다.

 

미스터 트롯 광팬이 제 어머니께서는 사랑의 콜센터도 광팬이셨습니다.. ^^;; 이런 사랑의 콜센터는 14회로 마무리 지으려고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인기가 어마어마해서 정규 프로그램을 재편성된 것이라고 합니다. 20주 넘게 TV조선을 포함해 예능프로그램 1위였다고 하니 엄청난 프로그램이었는지 알수 있습니다. 사실 TV에 크게 관심없는 저희 어머니가 챙겨보시는거보면 예상이 되기도 합니다.

 

 

미스터 트롯, 사랑의 콜센터 안보면 친구들이랑 대화가 안된다고 하실 정도입니다.

인기가 이렇다 보니 당연히 여러 루머들이 돌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작년 7월부터 돌기 시작했던 사랑의 콜센터 하차, 활동중단 등은 가짜로 판명이 났습니다.

 

 

 

왜 이런 루머가!?

사랑의 콜센터가 예정데로 14회로 마칠것인지 연장할지 논의가 진행중이었다고 합니다. 이때, 시즌114회로 마치고, 시즌2를 새로운 멤버로 구성한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습니다. 당연히 시즌 1의 기존 멤버들은 하차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왜 유독 임영웅씨만 하차 루머가 있었던 것일까요?

너무나도 예상가능한 답인것 같습니다. 임영웅씨가 독보적인 인기를 가지고 있거니와 HERO을 발매하면서 음원차트 1위를 여기저기서 달성했습니다. 이런 연예인에게 루머가 돌지 않을래야 않을수 없었던 것 같습니다.

루머에도 불구하고, 지금도 계속 방송하고 있으니,, 미스트롯2도 인기를 끌었지만, 개인적인 느낌에는 미스터트롯에는 못 미치는것 같습니다. 당분간 사랑의 콜센터는 계속 해야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 임영웅씨 최근 이슈((3/20, MBC 음악프로그램 쇼 음악중심)

그나저나 임영웅씨 쇼 음악중심 1위는 대박이었습니다.

0.5%? 수준의 음악중심의 시청률이 임영웅씨 나오면서 1%넘게 2~3배까지 시청률이 뛰었다고 합니다.

1위 후보였던 아이유 씨와 로제 씨와는 압도적인 차이로 1위를 해버렸다고하니.. 어마어마한 것 같습니다. 저도 음악중심 안본지 한참된거 같은데, 임영웅씨 보러 한번 봐야지 싶더라구요.

반응형
반응형

플렉스, 플랙스(FLEX) 한다고, 자주 들었는데, 어떤 의미인가 싶어서 좀 찾아봤습니다. 생각보다 재미난 유래, 의미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저는 긍정적인 의미로 삶을 즐긴다, 즐기자~! .. 이런 것인줄 알았는데, 과시적인 소비하는 것이랑 관련있더라구요.

 

플렉스 라는 단어가 긍정적인 의미인지 알았는데, 배경을 알고보니, 그리 긍정적이진 않은것 같습니다.. ^^;;

모르고 사용해왔지만, 대충 배경/의미 정도를 알고 사용하면.. 사용이 꺼려질것 같긴하네요.. ㅎㅎ

 

- 플렉스 의미

자신의 능력이나 부에 대한 지나친 과시, 또는 과시적 소비를 뜻하는 유행어라고 합니다.  '구부리다'라는 의미에서 '팔을 구부려 힘을 과시하다라는 뜻이 파생된 후, 1990년대 미국의 힙합 가수들을 통해 재물이나 능력을 지나치게 과시하는 행위나 사람을 뜻하는 말로 발전했다고 합니다. 2010년대 이후에는 힙합 가수들을 통해 이런 과시적 소비나 과시행위를 부정적인 관점에서 표현하는 의미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고, 한국에는 2019년을 전후하여 래퍼들을 통해 도입되어, '과시적 소비'를 뜻하는 유행어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영단어 FLEX

구부리다라는 뜻을 갖고 있으며, 신축성 있는 것(전선)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Flex보다는 flexible(유연한, 신축성 있는, 구부러지는)이란 형용사로 많이 접하는 영단어입니다.

근육남이 자기 근육을 과시하는 행위로 팔을 "구부려" 이두박근 등을 과시하는 행위를 flexing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이와 관련해 "과시"라는 뉘앙스를 품게 되었다고 하네요.

 

 

- 플렉스 뜻 유래!?

미국의 힙합 문화에서 온 Flex란 단어가 '부나 귀중품을 과시하다'는 의미의 속어로 사용되었으며 1992년에 래퍼 아이스 큐브가 자신의 노래 'down for whatever'에서 사용했습니다. 속어이긴 하지만 오랜 생명력을 지녀서 여러 번 힙합 가수들을 통해 유행이 돌아오곤 했다고 합니다. 2019년에 한국의 기리보이, 염따 (염따씨가 플렉스 해버렸지 뭐야라고 한적이 있다고 합니다.) 등의 힙합 가수들이 사용했고, 언론이 이 단어를 밀면서 의미가 확장되어 사치, 과시적인 지름의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무언가를 과시하다"의 의미가 아니라 정확하게는 "무언가를 산 것을 과시하다"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더 최근에는 2015년 발표된 리치 호미 (Rich Homie Quan)의 앨범 <플렉스, , , (Flex[Ooh, Ooh, Ooh]>의 명칭에 사용되면서 대중적으로 더욱 널리 알려졌다고 합니다. 2018년에는 캐나다의 셀럽테이(Lil Tay)가 자신을 '세기의 최연소 플렉서(flexer)'라고 자칭하면서 '자기 자신을 재물이나 명품으로 과시하는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의미가 더욱 강조되기 시작했고, 이 의미에서 파생하여 '명품 구매나 과시적 소비'의 의미가 포함되었다고 합니다.

 

 

FLEX의 원래 부정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2030세대 우리 한국의 MZ세대가 사용하는 FLEX는 긍정적인 의미로 많이 변한것 같습니다. ^^; 순위가 높은 것들보면 FLEX 소비좋아 하면서 부정적 의미의 과시할만한 것은 없는거 같고, 각박한 세상에서 자신에게 힐링 해주는 의미로 FLEX를 사용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ㅎㅎ

 

 

 

반응형

'사회이슈 >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수완박 뜻 이란 의미  (0) 2022.04.11
안해욱 씨 인터뷰 김건희 쥴리  (2) 2021.12.09
이준석 프로필 (feat. 국민의 힘 당대표)  (0) 2021.06.12
메타버스 란? 뜻  (0) 2021.03.08
MZ세대 란? 뜻, 특징  (2) 2021.03.07
반응형

중국제품들이 싸니까, 싼맛에 많이 산다고는 하는데, 정말 너무한 것 같습니다. 2019년말쯤인가요. 중국산 쥐똥 김치라고, 위생상태가 엉망이라고, 뉴스로 화재가 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얼마 지나지도 않아.. 다시 이런일이 생겼네요. 유머짤로 중국음식을 비하하는 기사를 종종 보긴했지만, .. 충격적이긴 합니다. 저도 식당가면 중국산 김치 정말 많이 먹었던 것 같은데.. 스케일이 다르다고 하지만.. 정말.. 안좋은 쪽으로 다르네요.

 

중국에서 알몸으로 배추를 절이는 영상이 공개되자 중국산 김치에 대해 염려하고 있습니다. 해당 절임배추는 국내와 연관성이 낮다는 게 식품당국의 설명이지만,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와 연관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더라도.. 어느누가 먹고 싶겠습니까.. 

 

김치찌개 식당운영하시는 사장님은 매출이 절반이하로 뚝 떨어졌다고 합니다. 아마도 중국 김치를 수입해 공급하고 계셨던것 같은데, 장사 접게 생겼다고 할 정도라고 합니다.

 

거의 대부분의 음식점에서 중국산 김치를 저렴하게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국내산은 원가가 3~4배까지 높다고 합니다. 다들 고민스러울수 밖에 없긴 한것 같습니다.

 

 

 

- 현재 수입규모

19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김치 수입량은 281186t기록했습니다. 이는 국내 연간 김치 소비량(200t)15% 규모입니다. 매년 김치 수입액은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김치 수입액은 15243만달러로 전년(13091만달러)대비 16.4% 증가했다고 합니다. 이중 99%가 중국산이다. 이는 원재료값 부담으로 국산 김치 수요가 줄고 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진짜 해도 너무한다.. 라는 생각이 드는건 어쩔수 없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